-
소관부처보건복지부
-
제공유형현금지급
-
지원주기월
지원대상
- 지원대상
- 해당 지역 주민(주민등록기준) 중 보건소(치매상담센터)에 치매환자로 등록된 자가 선정기준을 만족하면 지원합니다.
- 선정기준
- 다음의 기준을 모두 충족하여야 합니다.
- 연령기준: 만 60세 이상인 자(초로기 치매환자도 예외적으로 선정 가능하나, 이 경우에도 진단기준과 치료기준, 소득기준은 반드시 충족해야 함)
- 진단기준: 의료기관에서 상병코드 F00~F03, G30 중 하나 이상으로 진단을 받고, 반드시 보건소(치매상담센터)에 치매환자로 등록되어 있어야 함
- 치료기준: 처방전 사본 또는 영수증에 치매치료약이 기재되어 있고, 치매치료약 복용 여부가 확인되어야 함
- 소득기준: 기준 중위소득의 120% 이하인 경우, 의료급여 수급자는 소득기준을 충족하는 것으로 판정하여 지원하고, 국민건강보험 가입자 중 건강보험료 본인부담액이 치매치료관리비 지원대상자 소득판정기준 이하인 분을 지원함
- 보훈대상자 의료지원 대상자에게는 지원하지 않습니다.
- 다음의 기준을 모두 충족하여야 합니다.
서비스 내용
이런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
- 지원내용
- 치매치료관리비 보험급여분 중 본인부담금(치매약제비 본인부담금 + 약 처방 당일의 진료비 본인부담금)을 월 3만원(연 36만원) 이내에서 실비로 지원합니다.
- 치료제는 복용 개월수에 따라 일괄 지급합니다.
신청방법
아래와 같은 절차로 진행됩니다.
처리절차
대상자 통합조사 및 심사
담당 시/군/구청 또는 보건소(치매안심센터)에서 조사 및 심사
대상자 확정
담당 시/군/구청 또는 보건소(치매안심센터)에서 보장 결정
이의 신청 접수
이의가 있을 경우, 담당 시/군/구청 또는 보건복지부에 이의 신청 접수
서비스 지원
담당 시/군/구청 또는 건강보험공단에서 대상자에게 서비스 제공
서비스 사후 관리
담당 시/군/구청 또는 보건복지부에서 서비스 제공 이후 대상자의 상황 관리
추가정보
아래 정보를 참고하세요.
전화문의
관련 웹사이트
- 보건복지부 콜센터 http://www.129.go.kr
- 치매상담콜센터 www.nid.or.kr
근거법령
- 치매관리법
- 노인복지법
- 치매관리법 시행령